의학 73

1천식 / COPD 급성 악화

흡입 벤톨린1@ + 아트로벤1@ 100ml NS + 덱사메타손1@ (심하면 살론 주0.2~0.3@?) / 소론도 정 (qid / bid / tid) P.O.로도 가능.+ 아미노필린 1@도 가능 AECOPD의 경우엔, 여기다 + 항생제 추가할 수 있음.> 초기 경험적 치료에는 aminopenicillin-clavulanic acid, 2, 3세대 cephalosporin, 또는 차세대 macrolide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65세 이상, 1초간 강제호기량 50% 미만, 잦은 악화, 심장질환 동반 등의 위험인자를 갖고 있 는 경우에는 fluoroquinolone (levofloxacin, moxifloxacin, zabofloxacin 등), Pseudomonas 감염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에는 a..

의학 2023.09.20

응급의학과 전문의 닥터 K 유튜브의 CT로 진단하는 응급의학 케이스들. abdomen 4개 + chest 1개

급성 충수 돌기염 = acute appendicitis> https://www.youtube.com/watch?v=z8j4LA91dMo&t=351s 급성 간염에서 보이는 담낭 부종> https://youtu.be/qw7XOjFUfCA?si=6b_LNXACi1ad17Af 급성 간 농양> https://youtu.be/5NWrljyduEw?si=DuhZKk-PP_Bh_tEU 닫힌 창자 막힘 = closed loop obstruction> https://www.youtube.com/watch?v=eM5iI3Q43uY 결핵 환자의 chest CT에서 보이는 덩어리> https://youtu.be/1ATa2AUoX_s?si=jHKnmZFL5CqS8-y2

의학 2023.09.08

덱사메타손

덱사메타손 = 염증 억제작용이 있는 합성 부신피질 호르몬제. 스테로이드제에 속하며, 항염증 및 면역 억제 효과를 나타냄. 만병통치약 느낌..; 조영제 CT 찍을 때 페니라민과 같이 주기도하고, 항앙제 부작용 감소시키는데에도 주고, 팔 다리 아프다는 환자에게도 주고, 알러지 있는 사람에게도 주고.. 효과는 좋으나, 부작용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고, 부작용 회복이 쉽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약으로 치료 가능하다면 쓰지 않는 게 원칙이다. 장기간 복용하다 갑자기 끊어버리면, 내부에서 스테로이드 생성 능력 감소하여 부신기능부전증 생길 수 있기 때문에 tapering 해야함.. 부신은 매우 민감한 기관이다. 덱사메타손 복용 이후에도 코르티솔 량이 줄지 않으면 쿠싱증후군으로 진단 가능. ACTH = Adre..

의학 2023.09.07

간경변성 복수의 치료 - 이뇨제

간경변성 복수가 지속되면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SBP,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유발할 수 있으므로 꼭 다음과 같은 치료를 해야 한다. treatment> 1. 염분 조절 (저염식 식단으로 하루 5g 미만으로 염분 제한) - 우리 몸의 전해질(혈중 나트륨 저하) 균형이 깨졌기 때문. -> 콩팥에서 나트륨 재흡수 촉진시켜서 혈관 농도 증가 -> 삼투압으로 복수에서 혈관으로 물 이동 -> 복수 치료. 2. 복수 천자 3. 이뇨제 >경구 복용이 원칙이다. 왜냐하면, 정맥 투여 시, 급격한 체액 감소하여 신장이 손상되면, 간신 증후군이라는 매우 위험한 질병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간신 증후군은 심한 간경변증으로 인해 문맥 고혈압이 극도로 진행되면 내장 혈관이 확장되는 ..

의학 2023.09.07

구역 구토의 원인

N/V 원인> 1. (유문,소장,대장 등의) 폐쇄 장애. ex) SMA syndrome (Superior Mesenteric Artery syndrome) ex) 다이어트를 급작스럽고 심하게 한 마른 여성의 경우, 혈관이 장을 눌러 협착을 발생->N/V 유발. 2. (바이러스, 세균 등에 의한) 감염. -> 독소 발생 -> 우리 몸의 면역계가 염증 물질 유발 -> 구토 중추인 뇌의 연수(medulla oblongata) 자극 -> N/V 유발. 3. 뇌질환. 뇌압이 올라간 경우 -> 분출성(projectile) 구토. 4. 심장병 심근경색 -> 흉통과 함께 구토 증상 있을 수 있음. 5. 암 장 운동 능력 감소, 전체적인 컨디션 저하, 독성 물질도 많음. -> 구토 6. 대사 질환 / 내분비 질환 ex)..

의학 2023.09.01

인슐린 종류와 고혈당 환자에게 사용하는 방법

인슐린은 크게 1. 초속효성 2. 속효성 3. 중간형 4. 지속형 5. 혼합형 으로 나뉜다. 작용시간은 아래와 같다. insulin이 부족한 당뇨 (B세포에 대한 자가면역) blood glucose높으니 소변 많이 나가서 탈수오고 목마름 세포에서 glucose intake줄여서 ketoacidosis일으킴 구토 구역 치료 : 탈수교정 / 인슐린 / 티아민 인슐린은 hypoK와 티아민 결핍을 일으킨다 hypoK는 부정맥을 일으키므로 잘 모니터해야한다. 고혈당 경험적 치료 N/S 500ml 또는 플라주오피주(?) 500ml + 삐콤헥사1@로 주고 30gtt로 천천히 주입. + 속효성 (휴물린 알=human insulin) 또는 초속효성 (애피드라=insulin glulisine) SC inj. bst 250..

의학 2023.08.31

기능성 소화 불량 (functional dyspepsia)

진단> ROME4 criteria / 1. 명치가 쓰리거나 2. 명치가 아프거나 3. 밥을 먹고 나면 과도한 팽만감. 4. 조기 포만감 중에 하나라도 3개월 이상 지속될 시 진단 가능. 다만 배제 진단이다. 위궤양, 위암과 같은 다른 기질적 질환이 있으면 안 된다. 경고 증상(식욕 저하, 체중 저하, 황달, 40세 이상인데 위내시경 안해봄)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위내시경 권고해서 기질적 질환 감별하도록 하자. 원인 기전> 잘 모른다. 확실히 밝혀지지 않음. 따라서 ~한 약 썼더니 괜찮더라하는 경험적 지료만 존재. 추측1; 위산 추측2; 만성 염증 - H. pylori로 인해. 추측3; 위장관 운동장애 - 위 배출 지연 / 식후 위 기저부 이완 장애 / 위 팽창 과민반응 추측4; 지방, 산에 대한 십이지장..

의학 2023.08.31

항구토제 (antiemetics) / 위장관 촉진제 (Prokinetics)

구토의 원인은 크게 A) 위장관 기능 장애 B) 멀미로 나뉜다. A-1. (맥페란, metoclopramide) : 크게 두 가지 작용을 한다. : 효과 강력. 1) 5-HT4 수용체 촉진.-> acetylcholine 분비 촉진. -> 위 배출 촉진. 2) dopamine 수용체 길항작용 -> 위 배출 촉진. 하지만 신경학적 부작용 있다. 낮은 확률이긴 하지만 일부 환자에게 지연성 이상운동증(tradive dyskinesia)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2,3개월의 장기 복용은 권장하지 않음. they antagonize dopamine receptor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s well a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where dopamine..

의학 2023.08.3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