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기 뇌졸중
3. 혈압 관리 뇌졸중의 급성기에는 혈압상승이 흔히 관찰되어 내원시 수축기 혈압이 160 mmHg를 초과하는 환자가 60%나 될 정도로 흔하지만, 어느 정도의 혈압 수준이 적절한 지에 관 해서는 아직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다. 일반적으로 뇌졸중과 혈압과 예후관계는 U자의 형태의 관련도를 보여, 너무 높거나 낮은 혈압은 불량한 예후와 관련되며 수축기 혈압이 150 mmHg를 넘어 10 mmHg씩 상승할 때마다 2주 사망률이 3.8%씩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압을 낮춤으로써 뇌부종의 감소, 출혈성 변화 위험감소, 추 가적인 혈관 손상의 예방, 초기의 뇌졸중 재발의 예방 등을 기대할 수 있지만, 뇌경색 부위의 관류 감소를 일으켜 뇌경 색 부위를 확장시킬 위험을 배제할 수 없고, 혈압조절을 하 지 않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