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9

우리 뇌의 항상성 성질.

쾌락과 고통은 쌍생성된 것으로, 본질적으로 같다. 마치 동전의 앞 뒷면처럼. 실제로 뇌과학 관점에서도 유효하다. 이라는 것이 뇌에서 일어난다.. 만약, 알코올, 비디오 게임, 야동, 도박과 같은 쾌락 중추가 과활성화 된다면, 우리 뇌에서는 대립 과정 반응을 통해 그것과 비슷한 정도로 고통 중추가 활성화 된다. 현대인들은 이러한 무수한 외부 자극 요인에 무방비하게 노출되어 있으며, 잘 사는 나라일수록, 정신과적인 질병을 앓는 환자가 많다. (풍요병). 이를 교정하기 위해, 도파민 디톡스가 필요하다. 외부 자극 요인을 4주동안 차단한다면, 우리 몸에 남아있던 항상성을 유지하려하는 그렘린들이 온전히 떨어져 나간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h0Bfq_2lDos

뇌과학 연구소 2023.09.24

ekg 기본 (2) - 심전도 속도, 맥박수, 12유도 파헤치기

스탠다드 속도는 25mm/sec. if, QT interval을 재고 싶은데 좀 더 자세히 찍고 싶다? -> 50mm/sec로 찍어서 좀 더 길게 늘어뜨려서 찍음 -> 좀 더 자세히 잴 수 있다. if 정상적으로 뛰다 pause=동정지 나오는 것을 찍고 싶다? -> 12mm/sec로 찍어서 좀 더 좁게 찍음 -> 한 판에 여러개 파형을 볼 수 있다. 세로 한칸 = 10mm = 0.1mV 제일 작은 가로 칸 = 0.04초 제일 작은 가로 칸 5개가 모인 큰 가로 칸= 0.2초 큰 가로칸 5개가 모이면 = 1초 맨 밑 심전도 qrs complex에 곱하기 6 하면 PR=맥박수 나옴. 또는 qrs complex 간 interval이 큰 네모칸 가로 1칸 간격이면 = 300, 2칸이면 150, 3칸이면 100,..

의학 2023.09.21

ekg 기본 (1) - 심전도 기본 구성과 원리

Conduction System, 전기 신호 순서 > SA node = 굴심방 결절 = 동방 결절 -> AV node = 방실 결절 -> 잠깐 쉬었다가 = PR 분절 (b/c 심방 세동 같은 게 생기게 되면 이것이 심실 세동이 되고 이것은 심장 마비가 되기 때문에 심실이 이완할 때까지 신호를 적당히 걸러내기 위해.) -> Purkinje fibers = 푸르키니에 섬유 조기 흥분 증후군 = WPW syndrome > AV node를 거치지 않고, bypass=옆 샛길로 돌아가면 쉬었다 가는 시간 없이 쭉 전도가 가기 때문에 p wave에서 QRS로 활처럼 올라가는 delta wave가 보인다. PR interval prolongation : 1도 방실 차단. 1 degree AV block. QT 간격 ..

의학 2023.09.21

새로운 부의 흐름

금리가 오르고 있다. 투자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가 떨어지고 있다. 하지만 세상은 점점 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앞으로 세상의 발전 속도는 복비로 성장하여 exponential function. 즉, 지수함수의 형태를 띌 것이다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여럿 있다. 어찌보면 그럴 수도 있겠다. 페니실린이 발견된 지 약 100년밖에 안 되었다. 100년 사이에 현대 의학은 최초의 항생제부터 지금 현 주소까지 발전한 것이다. 뉴턴으로 세워진 고전 물리학의 근간을 뒤흔들고,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의 트랜지스터, 병원에서 사용하는 MRI와 같이 실생활 발명품들에 사용되는 양자역학 이론이 발전되기 시작한 지 단 200년도 안 되었다. 현재는 AI와 양자 컴퓨팅이 급속도로 발전되는 중이다. 딥 러닝..

불안 = 생산성의 부재

사람은 생산적인 행동을 안 할 때 불안하다. 현재 목표와 부합하는 행동을 하고 있는 상태라면, 불안감이 끼어들 자리가 없다. 상태이기 때문이다. 고로, 목표를 향해가는 과정 = 몰입 상태 = 생산자로서의 상태는 곧, fullness하고 timeless인 동시에, anxiety-less한 상태라고도 볼 수 있겠다. 부정적 감정이 들 때, 마주하고, 환영하고, 명상하는 것도 좋지만, 그 중 불안감이라는 감정에 한해서는 즉시 운동, 공부 등과 같이 생산적인 행위를 하면 사라질 것이다. 여기에 나의 가치관들 중 하나인, 행복의 적분값이 최댓값을 지향하는 삶을 생각해보자. 죽을 때까지 생산적으로 사는 것이 SUM happiness의 max.가 된다. 어차피 죽을 때까지 달려야 한다. 사람은 멈출 때 불안하다. 더..

수필 2023.09.21

진해제

진해제는 크게 중추성 진해제(연수를 직접적으로 억제하거나 구심성 뉴런으로 들어오는 신호의 역치값을 높임으로써 작용)와 말초성 진해제(구심성 뉴런 단계에서 막는), 기타로 나뉜다. 1. 중추성 진해제: 중추 억제하여 작용. 크게 마약성 vs 비마약성으로 나뉜다. a. 마약성 : 모르핀, 코데인.. 부작용 있으므로, 단기간에 쓰거나, 다른 약들 효과 없을 시에 사용. 특히, 모르핀은 진통효과와 항불안=진정 효과라는 좋은 점이 있으나, 의존성 강하고, 오심,구토, 호흡억제, 변비, 히스타민 분비로 인한 기도 수축 등과 같은 부작용 있을 수 있으므로, 말기 폐암 환자 같은 경우에만 주로 사용. 코데인도 모르핀과 비슷.. b. 비마약성 : dextromethorphan / 1세대 항히스타민제 dextrometho..

의학 2023.09.21

거담제

가래 = 객담 = 기관지 점액 = 수분 95%+ 5%의 당단백질, 지질, 무기질. 병적인 요인: 감염, 염증 과하면 호중구 유인하고 그물망 형성하여 화농성 증가시킴. 거담제는 크게 4가지로 나뉜다. 1. 분비 촉진제 (expectorant) : 기도 분비물의 부피를 증가 시켜주거나 분비물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켜준다. -> 점도는 감소 -> 배출 능력 상승. ex) guaifenesin (코대원 정) / ammonium chloride (코대원 포르테 시럽) / bromhexine(전형적 점액 용해제이기도 하다.) / 고장성 식염수 2. 점액 조절제 (mucoregulator) : 점액 분비 조절. DNA-filament actiin 그물망 형성을 억제한다. 이황화 결합을 끊어내는 식으로 구조에 영향을 주..

의학 2023.09.20

norepinephrine vs epinephrine

아나필락시스( anaphylaxis) -> epinephrine 0.3@ IM + NS 1L full drop 하면서 30분마다 페니라민 1@, 덱사메타손1@ IVS로 계속. 심정지 (cardiac arrest) -> 30:2로 CPR 치면서 4분마다 1@ IVS로 계속. cardiogenic shock / septic shock으로 인한 저혈압과 서맥 증상 -> atropine 2@ ivs로 시도해보고 안 되면 -> 5% DW 500ml + norepinephrine (큐프린 주 8mg/4ml) 32mg=4@ 하여 3-30cc/hr 속도 IV로 주입. 단!! pulmonary embolism일 경우, IV fluid만 달고 대학병원으로 전원. PE이면서 혈압떨어지면 NE 시도해 보기도 하나 혈관수축시켜..

의학 2023.09.20
728x90